SRT (철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SRT(Super Rapid Train)는 (주)SR이 운영하는 대한민국의 고속철도 서비스이다. 2016년 12월 9일 영업을 개시했으며, 경부고속선, 경전선, 동해선, 호남고속선, 전라선 등 5개 노선을 운행한다. SRT는 KTX-산천 120000호대 및 130000호대 전동차를 사용하며, 수서역을 기점으로 부산, 광주, 목포, 여수 등 주요 도시를 연결한다. 사업자 선정 과정에서 철도 시장 개방 논란이 있었으나, 한국철도공사, 정부, 공적자금 출자 계열사 설립을 통해 (주)SR이 설립되어 운영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고속철도 - 한국고속철도
한국고속철도(KTX)는 1970년대 경부선 용량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건설되어 2004년 개통되었으며, 프랑스 TGV 기술을 기반으로 경부, 호남 등 8개 노선에서 다양한 열차로 운행되고, 자동 열차 제어 장치를 사용하며, 운임은 차등 적용되고 2023년 누적 이용객 10억 명을 돌파했다. - 수서평택고속선 - 율현터널
수서평택고속선에 위치한 율현터널은 대한민국에서 가장 길고 세계에서 네 번째로 긴 터널로, 신갈단층 통과로 인한 구조적 안정성 문제와 개통 후 궤도 변형 문제 등이 발생했으나, 동탄역을 포함하여 수서에서 평택 구간을 연결하고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과 선로를 공유한다. - 수서평택고속선 - 천안아산역
천안아산역은 충청남도 천안시와 아산시에 위치한 고속철도 및 일반철도 환승역으로, KTX, SRT, 장항선, 수도권 전철 1호선이 운행되며, 천안시와 아산시 간 역명 분쟁 후 2004년 개통, 수도권 및 전국 주요 도시로 이동이 용이하다. - 대한민국의 철도 운행 계통 - 무궁화호
무궁화호는 대한민국의 여객열차로, 1983년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새마을호와 통일호의 중간 등급으로 장거리, 지방 노선의 역할을 해 왔으며, 2004년 이후 지방 노선의 주력 열차가 되었으나, 현재는 노후화된 차량과 ITX-마음의 등장으로 운행 구간과 정차역에 변화가 생기고 있다. - 대한민국의 철도 운행 계통 - ITX-새마을
ITX-새마을은 2014년 5월 12일부터 운행을 시작한 한국철도공사의 간선 전기 동차로, 경부선, 호남선, 전라선, 경전선, 동해선, 중앙선 등 다양한 노선에서 운행되며, 2013년에 총 23편성이 도입되었다.
| SRT (철도) | |
|---|---|
| 열차 정보 | |
| 열차명 | SRT |
| 종류 | 고속철도 |
| 현황 | 운행 중 |
| 운영자 | (주)SR |
| 운행 시작일 | 2016년 12월 9일 |
| 제한 속도 | 영업 300km/h 이하, 설계 353km/h 이하 |
| 노선 정보 | |
| 기점 | 수서 |
| 종점 | 부산 포항 진주 광주송정 목포 여수엑스포 |
| 역 수 | 32 |
| 노선 | 수서평택고속선 경부고속선 경부선 호남고속선 호남선(광주송정~목포 구간) 경전선 전라선 동해선 |
| 궤간 | 1,435mm (표준궤) |
| 전철화 방식 | 가공전차선, 교류 25,000 V |
| 최고 속도 | 영업최고속도: 300km/h, 설계최고속도: 330km/h |
| 노선 소유자 | 대한민국 정부 |
| 운행 정보 | |
| 평균 소요 시간 | 알 수 없음 |
| 배차 간격 | 알 수 없음 |
| 열차 번호 | 알 수 없음 |
| 객실 정보 | |
| 좌석 등급 | 특실·일반실 |
| 장애인 지원 | 지원 |
| 좌석 수 | 413석 |
| 식사 제공 | 오후 9:00 |
| 차량 정보 | |
| 차량 종류 | SRT 120000호대 열차 SRT 130000호대 열차 |
| 기타 | |
| 비고 | 알 수 없음 |
| 노선도 | |
![]() | |
2. 역사
SRT는 2016년 11월 1일부터 12월 8일까지 전 구간 시운전을 거쳤다.[4] 2016년 12월 9일에 정식으로 영업을 시작했다.[4]
2023년 7월 10일에는 경전선, 동해선, 전라선에서 시운전을 시작했고, 같은 해 9월 1일부터 이들 노선으로 운행을 확대했다.
2. 1. 개통 지연
GTX 중간역 신설 과정에서 결정이 미뤄져 2015년 12월에 개통이 지연되었으며, 2016년 8월에 개통하려고 하였으나 용인 부근에서 발생한 지반 균열로 인해 개통이 연기되었다.[1]2016년 6월 말 공정률은 97%였으며,[1] 이후 2016년 12월 9일에 개통되었다.[2]
3. 운행
SRT는 경부선 서울역~금천구청 구간의 선로 용량 포화 문제와 서울특별시 동남권(서초구, 강남구, 송파구, 강동구 등)과 경기도 남부 지역의 철도 이용객 편의를 위해 2016년 12월 9일 개통되었다. 부산역 및 목포역까지 약 2시간이 소요된다.[3]
3. 1. 운행 구간 및 열차 번호
경부선 서울역~금천구청 구간의 선로 용량 포화 문제와 서울특별시 동남권(서초구, 강남구, 송파구, 강동구 등), 경기도 남부 지역의 철도 이용객 편의를 위해 2016년 12월 9일에 개통되었다.부산역 및 목포역까지 운행 시간은 약 2시간이 소요된다.
평택지제역-천안아산역 사이에는 수서평택고속선-경부고속선 연결선이 설치되어 이 노선 운영에 사용된다.
일반철도 구간에서는 경부선 대전-대전조차장, 밀양-지천, 경전선 낙동강-진주, 동해선 모량-포항, 미전선 및 전라선 전 구간, 호남선 광주송정 이남 구간 등에서 볼 수 있다.[3]
| 계통 | 구간 | 번호 | 비고 |
|---|---|---|---|
| 경부고속철도 | 수서~부산 | 301~380 | [6] |
| 경전선 | 수서~진주 | 381~384 | |
| 동해선 | 수서~포항 | 391~394 | |
| 호남고속철도 | 수서~광주송정 | 601~622 | |
| 수서~목포 | 651~668 | ||
| 전라선 | 수서~여수엑스포 | 681~684 |
- SRT 전체 운행 횟수 120회 중 66회는 동탄역에, 28회는 평택지제역에 정차하며, 14회는 평택지제역과 동탄역에 모두 정차한다.
- 부산행 SRT 열차는 80회 운행하며, 이 중 42회는 동탄역에, 18회는 평택지제역에 정차하며, 8회는 평택지제역과 동탄역에 모두 정차한다.
- 광주송정행 SRT 열차는 22회 운행하며, 이 중 14회는 동탄역에, 8회는 평택지제역에 정차하며, 4회는 평택지제역과 동탄역에 모두 정차한다.
- 목포행 SRT 열차는 18회 운행하며, 이 중 10회는 동탄역에 정차하고 2회는 평택지제역과 동탄역에 모두 정차한다.
- 서대구역에는 1일 5회 정차한다.[6]
3. 2. 정차역
경부고속선의 '''수서''' - 동탄 - 평택지제 구간은 서울특별시 동남권(서초구, 강남구, 송파구, 강동구 등)과 경기도 남부 지역의 철도 이용객 편의를 위해 건설되었으며, 2016년 12월 9일에 개통되었다.부산역 및 목포역까지 약 2시간이 소요된다.
평택지제역 - 천안아산역 사이에는 수서평택고속선과 경부고속선을 연결하는 선로가 설치되어 있다.
SRT는 일반철도 구간 중 경부선 대전 - 대전조차장, 밀양 - 지천, 경전선 낙동강 - 진주, 동해선 모량 - 포항, 미전선 및 전라선 전 구간, 호남선 광주송정 이남 구간 등에서 운행된다.[3]
| 계통 | 구간 | 번호 | 비고 |
|---|---|---|---|
| 경부고속철도 | 수서 ~ 부산 | 301~380 | [6] |
| 경전선 | 수서 ~ 진주 | 381~384 | |
| 동해선 | 수서 ~ 포항 | 391~394 | |
| 호남고속철도 | 수서 ~ 광주송정 | 601~622 | |
| 수서 ~ 목포 | 651~668 | ||
| 전라선 | 수서 ~ 여수엑스포 | 681~684 |
- SRT 전체 120회 운행 중 66회는 동탄역에, 28회는 평택지제역에 정차하며, 14회는 평택지제역과 동탄역에 모두 정차한다.
- 부산행 SRT 열차는 80회 운행하며, 이 중 42회는 동탄역에, 18회는 평택지제역에 정차하며, 8회는 평택지제역과 동탄역에 모두 정차한다.
- 광주송정행 SRT 열차는 22회 운행하며, 이 중 14회는 동탄역에, 8회는 평택지제역에 정차하며, 4회는 평택지제역과 동탄역에 모두 정차한다.
- 목포행 SRT 열차는 18회 운행하며, 이 중 10회는 동탄역에 정차하고 2회는 평택지제역과 동탄역에 모두 정차한다.
- 서대구역에는 1일 5회 정차한다.[6]
필수정차역은 '''굵은 글씨'''로 표현하였다.
- '''경부고속선 : ''' '''수서''' - 동탄 - 평택지제 - 천안아산 - 오송 - '''대전''' - 김천(구미) - 서대구 - '''동대구''' - 경주 - 울산 - '''부산'''
- '''경전선 : ''' '''수서''' - '''동탄''' - '''평택지제''' - 천안아산 - 오송 - '''대전''' - 김천(구미) - '''동대구''' - '''밀양''' - '''진영''' - '''창원중앙''' - '''창원''' - '''마산''' - '''진주'''
- '''전라선 : ''' '''수서''' - '''동탄''' - '''평택지제''' - 천안아산 - 오송 - '''공주''' - '''익산''' - '''전주''' - '''남원''' - '''곡성''' - '''구례구''' - '''순천''' - '''여천''' - '''여수엑스포'''
3. 3. 운행 차량
SRT는 KTX-산천 120000호대 전동차 22편성과 KTX-산천 130000호대 전동차 10편성으로 운영된다. 120000호대 전동차는 2016년 말 SR로 이관되기 전까지 코레일 KTX에서 운행했던 열차이며, 130000호대 전동차는 바로 SRT에서 운행을 시작하였다.[5]4. 사업자 선정 논란
이명박 정부는 철도 시장 개방 정책의 일환으로 SRT 노선의 사업권을 한국철도공사가 아닌 민간사업자에게 주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한국철도공사는 요금, 안전 문제, 수익성 악화 등을 이유로 반발했고, 여론 또한 호의적이지 않았다. 박근혜 정부와 정치권에서도 유보적인 입장을 보여 무산될 위기에 처했다.
박근혜 정부는 한국철도공사가 아닌 제2공사에 사업권을 주는 것으로 정책을 수정했지만, 한국철도공사는 운영 효율성 문제를 제기하며 여전히 우려를 표했다. 결국 정부, 한국철도공사, 국토교통부의 입장을 절충하여 정부와 한국철도공사가 연기금과 공적자금을 출자한 계열사를 설립하고, 이 회사에 사업권을 주는 방향으로 정책이 변경되었다.
한국철도공사는 자회사를 통해 철도 시장 구조를 재편하겠다는 방침이었으나, 민간자본 투입 의혹과 자회사와의 경쟁 방식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기도 했다.
4. 1. 이명박 정부
이명박 정부 당시 국토해양부는 철도 시장 개방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정책의 하나로 이 노선의 사업권을 한국철도공사가 아닌 다른 민간사업자에게 주겠다고 밝혔다.[1]하지만 한국철도공사는 요금, 안전 문제와 수익성 악화 등을 이유로 반대하였다.[1] 여론도 좋지 않았으며, 다음 박근혜 정부와 정치권에서도 미루자는 의견이 많아 무산될 뻔했다.[1]
4. 2. 박근혜 정부
박근혜 정부는 집권 이후 국토교통부의 정책을 수정하여 한국철도공사가 아닌 제2공사에 수서평택고속선 사업권을 줄 것이라고 밝혔다.[1]하지만 한국철도공사는 운영 효율 등을 이유로 여전히 우려를 표했다.[1]
결국 여론, 한국철도공사, 국토교통부의 입장을 절충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선회하게 되었으며, 정부와 한국철도공사가 연기금과 공적자금을 출자한 계열사를 설립하여 그 업체에 사업권을 줄 계획을 밝혔다.[1]
한국철도공사는 운송 사업을 영위하고 분리 운영이 효율적인 사업은 자회사로 전환해 철도 시장 구조를 재편하겠다는 방침이었다. 그러나 ‘여론을 진정시키면서 한국철도공사와 별개의 회사에 운영을 맡겨 민간자본을 투입시키려는 것’ 아니냐는 의혹이 있었고, 한국철도공사는 ‘자회사와 어떻게 경쟁을 시키겠다는 건지 의문이 든다.’는 의견을 내놓기도 하였다.[1]
2013년 12월 27일 대전지방법원은 한국철도공사 자회사 설립 등기를 인가하였으며, 국토교통부는 자회사에 대하여 철도 운수업 면허를 발급했다.[1] 2014년 1월 10일 수서고속철도주식회사가 공식 출범하였으며,[1] 2014년 6월 11일 사명을 (주)SR로 변경하였다.[1]
(주)SR의 주주는 한국철도공사(41%), 사학연금공단(31.5%), IBK기업은행(15%), KDB산업은행(12.5%) 등 공적자금으로 구성되었으며, 임직원 또한 한국철도공사 출신이 많아 공기업하고 유사한 형태가 되었다.[1]
4. 3. (주)SR 설립
2013년 12월 27일 대전지방법원이 한국철도공사 자회사 설립 등기를 인가하였으며, 국토교통부는 자회사에 철도 운수업 면허를 발급했다.[1] 2014년 1월 10일 수서고속철도주식회사가 공식 출범하였고,[1] 2014년 6월 11일 사명을 (주)SR로 변경하였다.[1](주)SR의 주주는 한국철도공사(41%), 사학연금공단(31.5%), IBK기업은행(15%), KDB산업은행(12.5%) 등 공적자금으로 구성되었으며,[1] 임직원 또한 한국철도공사 출신이 많아 공기업하고 유사한 형태가 되었다.[1]
참조
[1]
문서
광주송정~목포 구간
[2]
웹사이트
SRT to start operation next month
http://www.koreatime[...]
The Korea Times
2016-11-02
[3]
문서
2021년 김천(구미)역 KTX-산천 탈선 사고 당시 대전역과 지천역 사이 임시우회 운행
[4]
뉴스
수서발 고속철도 개통...새벽 5시부터 운행
https://www.ytn.co.k[...]
2016-12-09
[5]
웹인용
Korea opens Suseo high-speed line
https://www.railjour[...]
2016-12-09
[6]
문서
서대구역 경유 열차 목록 (306, 310, 313, 319, 333, 334, 344, 347, 355, 37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